- RNP 10 공역에서는 IRS/FMS, GPS가 필요하다. IRS/FMS로 항공기 위치를 알고 GPS로 계속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운항한다.

 

- 그러나 GPS가 없어도(고장나도) IRS/FMS만으로도 6.2시간동안은 운항이 가능하다. 시간 제한이 있는 이유는 IRS가 위치 계산을 거듭하며 오차가 생기기 때문. 이를 표준 시간 제한(standard time limit)이라 부른다.

PBN 운용지침

 

- 근데 IRS로만 RNP 10 항로를 운항하다가 항행시설을 이용하여 포지션 업데이트를 하면 제한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ICAO PBN MANUAL

 

- 장비 구성에 따라 다르지만 5.9, 5.7, 5.2 시간 등으로 연장 가능. 기존 6.2시간에 추가하면 IRS만으로도(= GPS가 고장나도) 꽤 긴 시간 운항 가능. 이를 운항 제한 시간 연장(extended time limit)이라 함.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OCA(H)  (0) 2024.12.31
HW 50%, TW 150%  (0) 2024.12.03
dispatch by METAR  (3) 2024.11.28
EDTO 회항 거리 설정  (0) 2024.11.01
for filing as alternate  (9) 2024.10.02

- 얼마 전부터 국내 AIP 계기접근 차트 미니마 정보에 OCA(H)만 나온다. RVR/VIS, (M)DA(H)가 모두 적힌 것에 익숙했던 터라 어색하긴 함.

RKSS RWY 14R

 

- 그러나 외국의 경우 예전부터 OCA(H)만 적힌걸 많이 보았다. 세계적인 추세도 그렇고 매뉴얼도 그렇고 OCA(H)만 있는게 정배임.

manual of all weather operation 중

 

- 그동안 AIP 최저치와 회사 최저치가 일치하는 경우가 많아 큰 문제가 없었다. 차트에 OCA(H)만 있다 한들 항공사마다 착륙 최저치를 각자 운영하므로 실무에서는 그 수치를 따르면 됨.

 

- 개인적으로 OCA(H)와 DA(H)의 관계를 MEA와 플랜 고도의 관계로 이해하니 와닿았다.

 

- 돈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제 기관은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안전운항을 보장하는 수치 (OCA(H), MEA)만 공식적으로 제공. 그 수치에 근거해 운영자는 규정과 효율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자신들의 고도(DA(H), FPL FL)를 선택.

 

- 따라서 DA(H)는 무조건 OCA(H) 이상이어야 하고, 플랜할 때도 MEA 아래로는 무조건 내려가지 않는 것.

마진을 얼만큼 둘지는 항공사의 선택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RNP 10 운항 시간 제한  (2) 2025.04.02
HW 50%, TW 150%  (0) 2024.12.03
dispatch by METAR  (3) 2024.11.28
EDTO 회항 거리 설정  (0) 2024.11.01
for filing as alternate  (9) 2024.10.02

- 주적의 GPS 교란땜에 항공기 GPS도 문제가 생길 때가 있다. 대부분 인천 FIR을 벗어나면서 자연스레 해소되곤 함.

 

- 737의 GPS 기반 정보는 트랜스폰더(정확히는 트랜스폰더를 매개로 작동하는 ADS-B out)를 통해 전달된다. 이를 바탕으로 관제사의 레이더와 플라이트레이더에도 항공기 위치가 뜨는 것.

 

- 그리고 both GPS fail로 ADS-B 기능이 고장나면 항공기 트랜스폰더에 fail light가 뜸.

기재 옵션에 따라 ATC FAIL, XPONDER FAIL이름은 다르나 역할은 동일

 

- 문제는 이 light가 트랜스폰더 자체가 fail일때도 들어온다는 것. 그러니 이 fail light만으로는 GPS 이상에 따른 ADS-B 고장인지, 진짜 트랜스폰더가 통째로 fail인지 알 수 없음.

737 FCOM

 

- 조종사나 정비사는 적힌대로 atc fail light 또는 transponder fail light가 들어왔다고 외칠건데, 이렇게 명칭이 달라서 듣는 사람 입장에서 혼란스러울 수 있다.

 

- 상황상 GPS 교란에 따른 ADS-B 일시적 fail이라 볼건지, 트랜스폰더가 정말 이상한건지 지상에서는 알기 어렵다. 조종사가 관제사에게 항적 정보 잘 보이냐고 물어보는게 가장 정확할듯. 물론 최근에는 전자인 경우가 거의 대부분.

 

https://g510.tistory.com/227

 

TRANSPONDER both inop 분석

- B738 MEL 34-18A 참고하면 TCAS, ADS-B, RVSM 모두 불가능. 다른 기종 역시 비슷할 것. - 트랜스폰더 + 2차감시레이더(SSR) -> 레이더에 항공기 정보, 속도, 고도 등 시현 -> 관제사가 이를 활용하여 관제 - 근

g510.tistory.com

 

'B738, 737-8'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y RWY 이륙 시 no REV 적용 이유  (0) 2024.08.04
180° turning radius  (0) 2024.07.14
landing gear를 안 접어요  (0) 2024.06.07
RTL 다시 보기  (0) 2024.01.27
1 PACK INOP 고도 제한 이유  (0) 2024.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