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 측면에서 takeoff weight를 검토 후 가장 작은 값을 사용하듯 landing weight도 마찬가지이다.

- 1) landing field length limited weight : 착륙에 필요한 활주로 길이가 가장 큰 변수이다. dry RWY 기준 실제 착륙거리에 1.67배를 곱하면 필요착륙거리(a)를 얻는다. 만약 wet RWY라면 (a)에 1.15배를 곱한다. 이렇게 얻은 required landing distance 안에서 LDW 소화가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항공기가 NNC이거나 날씨가 안좋아 필요한 착륙거리가 늘어나면 무게 검토를 좀 더 꼼꼼하게 실시.

바꿔 말하면 실제착륙거리는 필요착륙거리의 60% 정도라는 뜻


- 1.67배의 여유를 두는 eu : 실제착륙거리는 3도 강하각 유지, 시단 50ft로 통과, Vapp 준수 등 항공기 제작 단계에서 테스트하는 이상적인 수치이다. 매번 최적의 착륙은 불가능할테니 여유있게 거리 산정한 것으로 이해.

- 2) approach climb limited weight : 착륙 단계에서 엔진 하나가 고장나서 복행을 해야하는 상황. 그 때의 항공기 무게로 주변 장애물 회피를 위해 상승 구배 2.1%(쌍발)를 확보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무게.

- 3) landing climb limited weight : 이번에는 AEO 상태에서 착륙을 포기하고 복행을 하는 상황. 역시 주변 장애물 회피를 위해 엔진 개수 상관 없이 상승 구배 3.2%(AEO니깐)를 확보할 수 있는지 검토하는 무게이다. FPPM에 차트가 있는데 지안프랑코 졸라 덥고 높은 곳에 있지 않으면 영향 미미함. 그래서 국내 공항과 크게 관련 없음.

졸라 아이콘 1카 졸라 좋음


- 이름이 'approach' climb, 'landing' climb limited weight인 이유 : 각각 approach configuration, landing configuraion일 때 복행 조작을 하는 것으로 가정. 각 상황에서의 엔진, 추력, 랜딩기어, 플랩 상태 등이 다르므로 요구 상승 성능도 다를 수 밖에 없다. 'approach configuration' climb limited weight, 'landing configuration' climb limited weight가 진정한 풀네임.

- 4) brake energy limited weight : 빡세게 제동하면 브레이크가 터지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다. 그정도의 무게를 넘지 않도록 확인.

- 5) MLDW : 항공기 구조가 견딜 수 있는 최대착륙무게.

- 위 다섯가지 중 가장 작은 값이 그 항공편의 landing limit weight가 된다. 프로그램으로 계산하면 간단히 구할 수 있지만 산출 과정은 한 번 정리해보고 싶었다.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ponder  (0) 2021.12.31
비행 시 확인하는 온도 TAT  (0) 2021.12.13
MEA MOCA MORA 다시보기  (0) 2021.12.08
contingency fuel  (0) 2021.12.06
왜 운항관리사를 영어로 dispatcher라고 할까  (2) 2021.11.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