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PS를 이용하는 위성항법은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고, 지상항행시설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설치 및 관리 비용도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저 멀리 있는 우주에서 날아오는 GPS 신호의 안정성과 신뢰도에 대한 우려 또한 만만치 않다.

 

- 우주에서 GPS 위성이 쏘는 신호가 왜곡되지는 않을까, 불량하진 않을까? 항공기가 잘못된 GPS 신호를 수신하면 위험하지 않을까?라는 걱정에서 아직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실제로 현행 GPS 신호는 수 십 미터 가량 오차가 발생하기도 하므로 항행 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밖에 없다.

티맵도 오류 뜨면 순간 긴장되는데 하물며 비행기는 ㅋㅋ

 

- 그래서 GPS 신호의 품질을 점검하여 이걸 항법에 사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통해 신뢰도를 높이고 위치 오차를 줄인 GPS 신호를 항공기에게 다시 제공하면 좀 더 안전하고 정밀한 GPS 항법이 가능하다는 개념이다. 이 기술을 GPS Augemntation이라고 한다. GPS 위성이 쏜 신호를 불순물이 섞인 물이라고 치면, GPS Augmentation은 불순물을 처리하는 상수도 시설에 비유할 수 있다.

 

- Augmentation의 원래 뜻은 '확대, 증강'이지만 항공 분야에서는 GPS 신호 '보정'이라고 해석한다. 왜 augmentation이란 단어를 사용했는지는 모르겠다. 분명 이유가 있을텐데 기술 지식이 전무하니 그냥 받아들이는걸로..

 

 

미국의 GPS 공식 사이트 발췌

 

GPS augmentation을 통해 위치측정, 항법, 시간계산을 좀 더 정확하고, 결점 없이, 유효하게 할 수 있다. 쉽게 말해 gps augmentation을 거쳐 gps를 좀 더 잘 이용할 수 있다는 뜻으로 이해하련다..

 

https://www.gps.gov/systems/augmentations/

 

GPS.gov: Augmentation Systems

Augmentation Systems A GPS augmentation is any system that aids GPS by providing accuracy, integrity, availability, or any other improvement to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that is not inherently part of GPS itself. A wide range of different augment

www.gps.gov

 

- 이 augmentation의 방법으로 ABAS(Aircraft Based Augmentation System), GBAS(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크게 세 가지가 있다.

 

 

 

ABAS(Aircraft Based Augmentation System)

- Aircraft Based 말 그대로 항공기가 스스로 GPS 신호를 보정한다. GPS RAIM이 대표적.

 

https://g510.tistory.com/61?category=1155065 

 

GPS RAIM OUTAGE NOTAM

CVA0290 GG RKZZNAXX RKDAYXYX 200039 RKRRYNYX  (G0209/21 NOTAMN  Q)RKRR/QGAXX/I/NBO/A/000/999/3728N12626E005 A)RKSI B)2104201612 C)2104222019 D)20 1612-1621 1647-1710, 21 1608-1618 1643-..

g510.tistory.com

 

- FDE(Fault Detection and Exclusion)도 있다. 'Fault를 Detection해서 Exclusion한다' 즉, 결함이 있는 GPS 신호를 탐지하여 제외하는 기능이다. FDE를 통해 문제 있는 GPS 신호 한 개를 제외해도 GPS 항법이 계속 가능하려면 RAIM은 작동해야한다. 원래 GPS 항법은 위성 신호 4개를 수신하며 거기에 1개의 위성 신호를 더 수신해야 RAIM이 작동하므로 FDE가 작동하려면 6개의 위성 신호가 필요하다.

 

FDE를 위해 6개의 위성이 필요한 이유

 

 

GBAS(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 Ground Based이니 지상시설이 GPS 신호를 보정한다.

지상 시설이 GPS 신호를 받아 보정하여 다시 항공기에게 전송

- 지상 시설을 갖춰야하고 그 주변 항공기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GBAS 개념을 이용한 GLS(GBAS Landing System)가 있다. 항공기 스스로도 GPS 신호를 수신하는데 지상 시설도 GPS 신호를 보정해서 알려주니 완전 정밀하게 착륙이 가능하다는 개념. 차트를 찾아보니 DH가 ILS CAT 1 최저치와 같은 값이다 ㄷㄷ

 

GPS 기반이라 곡선 접근 물론 가능

 

- 지상 시설을 갖춰야 하므로 아직은 FRA, SYD, EWR같은 대형 공항 위주로 가능한 듯. 그런데 GBAS는 지상 시설이 있어야 한다는 한계때문에 오히려 GPS 항법의 장점이 퇴색되는게 아닌가 싶다. 보통 후진국이나 험지에 있는 공항에서 관리나 비용 등의 이유로 GPS 기반 항법을 많이 쓰는걸 생각하면 GLS는 어쨌든 한계점도 분명히 있어 보인다.

 

- 그런데 더 찾아보니 러시아, 호주 같은 고위도 지방은 위치 특성상 GPS 신호의 신뢰도가 원래 낮다고 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려면 지상 시설 확충을 통한 GBAS 도입이 불가피하다고 한다.

 

- 천조국 형님들 늘 그렇듯 GBAS를 LAAS(Local Area Augmentation System)로 바꿔 부름.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 Satellite Based이니 위성으로 GPS 신호를 보정한다.

 

 

- 지상의 Reference station에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지상에 있는 Master station으로 보내면 그 곳에서 오차를 보정한다. 그 결과물을 Uplink station을 통해 SBAS 정지 위성으로 그 신호를 보낸다. SBAS 정지 위성은 쉽게 말해 움직이지 않는 기준 위성인데 이 위성을 통해 SBAS 신호가 항공기에게 전해진다. 좀 더 정확한 위치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인 셈이다.  

 

- ABAS처럼 항공기가 신호를 보정하거나 GBAS처럼 지상 시설이 신호를 보정하지 않는다. 오직 위성끼리 다 해먹는 진정한 의미의 위성항법의 끝판왕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미국에서는 이를 WAAS(Wide Area Augmentation System)라고 부르며 SBAS를 통해 CAT 1 수준에 근접한 착륙을 구현할 수 있다. SBAS를 활용한 착륙은 아직은 북미 대륙에만 한정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https://blog.naver.com/karipr/221741380809

 

GPS 오차를 줄여라,SBAS

바다처럼 하늘길에도 등대가 있습니다. 활주로에도 있고 항로에도 있죠. 신호를 깜빡여 비행경로를 알려줍...

blog.naver.com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정밀과 정밀의 사이 APV  (2) 2021.05.31
ADS-B(자동종속감시)  (2) 2021.05.24
TCAS 혹은 ACAS  (0) 2021.05.19
비행정보업무 정리  (0) 2021.05.04
GPS RAIM OUTAGE NOTAM 해설  (0) 2021.04.20

- TCAS는 Traffic Collision Avoidance System의 약자 aka ACAS(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s)..라고만 여태 알았는데 ACAS가 TCAS의 상위개념이라 한다.

 

- ICAO 부속서 10권에서 ACAS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이를 ACAS 1, ACAS 2, ACAS 3로 다시 분류한다. ACAS 1은 TA만 제공, ACAS 2는 거기에 수직 방향 RA, ACAS 3는 한 발 더 나아가 수직, 수평 방향 RA 이렇게 나뉜다. (하지만 ACAS 3는 아직 상용화 전)

 

- 이 ACAS라는 개념을 실제로 구현하는 장치가 TCAS이며 이는 FAA 용어라고 한다. 요컨데 ICAO가 제안한 개념을 FAA가 TCAS로써 실용화? 구현? 했는데 실제로 눈에 보이는 시스템의 이름이 TCAS이니 TCAS라는 말이 더 익숙한게 아닌가 하는 횡설수설잼 ~.~

 

https://www.skybrary.aero/index.php/Airborne_Collision_Avoidance_System_(ACAS)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ACAS) - SKYbrary Aviation Safety

Traffic Collision Avoidance System (TCAS) or Traffic Alert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TCAS) Description The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II (ACAS II) was introduced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mid-air collisions or near mid-air collisions be

www.skybrary.aero

 

 

- 항공기가 계속 트랜스폰더를 통해 전파를 쏜다. 이 전파를 받은 다른 항공기가 위치와 고도 정보를 다시 제공하는게 TCAS의 작동 원리이다. TA(Traffic Advisory)는 주변에 위협이 될 만한 항공기의 정보이며, RA(Resolution Advisory)는 진짜 곧 충돌할지 모르니 회피 기동(상승 혹은 하강)을 지시한다. 조종사는 반드시 이를 따라야 한다. 이게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위버링겐 공중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https://namu.wiki/w/%EC%9C%84%EB%B2%84%EB%A7%81%EA%B2%90%20%EC%83%81%EA%B3%B5%20%EA%B3%B5%EC%A4%91%EC%B6%A9%EB%8F%8C%20%EC%82%AC%EA%B3%A0

 

위버링겐 상공 공중충돌 사고 - 나무위키

위에서 설명했듯, 관제사가 전부 공무원인 한국과는 달리 취리히 ACC는 스카이 가이드라는 국영회사에게 관제권이 있었는데 해당 회사의 문제가 컸다. 우선 당시 스카이 가이드는 관제사를 2명

namu.wiki

 

- 유튜브에 실제 TA RA가 울리는 영상이 있다. ㄷㄷ

 

https://www.youtube.com/watch?v=b4X0oIbfQbE 

 

 

- 말 그대로 공중충돌회피시스템. 항공기 수가 증가하니 공중 충돌 가능성도 당연히 높아진다. 그로 인한 사고 방지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보통 조종석 ND를 보면 주변 항적의 위치와 상대고도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계기에 주변 항적을 뜻하는 다이아몬드가 뜨면 조종사들이 열심히 해당 항공기를 찾는다. 관제사가 트래픽 정보를 주는 경우도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f1E72gW0tQ 

TCAS에 뜬 항공기 실제로 스쳐 지나가는거 보면 겁나 빠름

 

- 관제기관에 제출하는 비행계획서에도 늘 TCAS 장비 정보가 적혀있다. MEL 카테고리가 B이고 CREW DEFER 불가라는 점에서 TCAS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S-B(자동종속감시)  (2) 2021.05.24
GPS 그리고 ABAS, GBAS, SBAS  (4) 2021.05.20
비행정보업무 정리  (0) 2021.05.04
GPS RAIM OUTAGE NOTAM 해설  (0) 2021.04.20
ILS CAT3 등급 통합  (2) 2021.02.25

- 항공교통개론 수업 중간고사때 달달 외워 적은 기억이 난다. 운항관리사는 비행정보업무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 중 항공기 운항에 영향을 줄만한게 있는지 늘 살펴야 한다. 국내외 각종 공항 및 공역에서 매일 많은 양의 정보가 쏟아진다. 그래서 보통 항공사 통제실에 이를 전담하여 관리하는 부서가 따로 있다.

 

ATIS, NOTAM, AIP 다 비행정보 전달 방법. 이렇게 체계적으로는 몰랐음..

 

- 여튼 복잡하게 이것저것 많은데 나름 정리해본다. 솔직히 여태 노탐 해석하는거 빼곤 잘 몰랐다. 언젠간 공부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드디어 하게됨 ㅋㅋ

 

1) AIP : 정식 발행하는 비행정보문서. GEN(일반사항), ENR(항로), AD(비행장) 항목으로 구분.

 

- 국가별로 AIP를 발행하는데 일일이 찾으려면 얼마나 귀찮을까. 그래서 젭슨社에서 보기 편하게 정리해서 젭슨차트를 발행한다.

 

 

2) NOTAM : 유효기간 3개월 이하의 새로운 정보를 전하는 수단(공고문).

 

김포공항의 유효기간 1달짜리 노탐

 

- 노탐 종류별로 알파벳을 달리 붙인다.

애쉬탐은 아직 못 봄. 눈 내리면 스노우탐 눈빠지게 기다림.

 

* 트리거 노탐 : 중요한 게시글 있으니 확인하라는 노탐이다. 밑에는 operational restrictions 내용을 담고 있는 AIRAC AIP SUP 5/21 읽어보라는 트리거 노탐이다. 

 

- 찾아보니 유도로 등화를 교체해야하니 작동이 당분간 안된다는 내용.

 

 

3) AIP SUP : AIP에 있던 내용을 잠시 바꿀건데 유효기간이 3개월 이상이면 AIP SUP. 그림 필요해도 AIP SUP.

 

인천공항에 생긴 9개월짜리 AIP SUP // 그림 설명까지 해줌

 

 

4) AIP AMDT : AIP에 있던 내용을 아예 새롭게 바꾸면 AIP AMDT.

 

'signifcant' changes에서 느낌 온다

 

 

5) AIRAC : Aeronautical Information Regulation and Control. 항공 정보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절차.
정보가 너무 막무가내로 쏟아지면 안되니 중요 내용을 전세계적으로 합의한 날짜에 업데이트하자는 약속.

ICAO 사이트 발췌

 

"항공 정보는 계속 바뀐다. 공역 구조와 항공로, 항행시설, SID, STAR, 활주로, 유도로 등...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항공종사자와 관리시스템이 인지하는 정보와 항공 차트에 실린 정보는 같아야한다. 이를 위해 AIRAC 스케줄을 따라야한다. AIRAC을 다루는 아넥스 15장 6.2절에 따르면 중요 변동사항은 미리 정해진 일정(AIRAC 스케줄)에 맞춰 공고되어야한다."

 

* FMS 업데이트도 AIRAC 일정에 맞춰 진행한다고 한다.

 

 

- AIRAC이 뭔지는 알겠는데 AIS 사이트 가보니 AIP AMDT와 AIRAC AIP AMDT가 분리되어있다.

AIRAC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 좀 더 찾아보니 AIRAC을 거쳐(?) 변경해야하는 항목들이 있다. 주로 항공기 운항에 큰 영향을 끼치는 항목들.

활주로, 공역, 항행시설, 등화 등 중요할 것 같은 내용

 

- 이런 항목들은 AIRAC AIP AMDT로 공지한다. 반대로 저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 덜 중요한 내용은 AIRAC을 거치지 않고 그냥 AIP AMDT.

 

- 이런건 직접 안찾아보고 못 참지. 실제로 사이트에 가보즈아

 

 

- 두 번째 AIRAC AIP AMDT 5_21B(Effective : 1600UTC 16 JUN 2021) 클릭. 발행 일자 21년 4월 8일

 

딱 봐도 졸라 중요한 내용같음

 

- AIRAC으로 발행해야하는 항목들이 나열되어있다. 활주로, 유도로, CAT, 저시정 절차 등등.... 이런 중요한 변경 사항은 그냥 AIP ADMT 하지 말자! AIRAC 일정을 준수하여 게시해야 모두가 똑같이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니깐! 이게 AIRAC AIP AMDT의 목적인 것 같다.

 

- 이 공지를 올린건 21년 4월 8일인데 실제 발효는 21년 6월 16일 16Z시 부터. AIRAC 날짜가 21년 6월 17일이니깐. 중요 내용이니 AIRAC 날짜 전에 미리 공지한다!라는 의도로 추측한다.

 

 

- 이번엔 4월 8일에 등록된 AIP AMDT 4_21을 확인해보면

 

 

- 우측 상단 보면 "RKSI AD 문서에 2-22 / 2-22-1이 21년 4월 8일부로 삽입되었다"라고 적혀있다.

 

 

- 그래서 해당 문서 열어보니 그렇게 되어있다! 이 항목은 4월8일에 게시되었고 그 날부터 바로 유효하다.

 

- 정리해보면 AIP AMDT는 AIRAC 일정과 별개로 국내(?) 자체적으로 AIP 내용을 수정할 때 게시하는듯 하다.

 

- AIRAC 참고자료

m.molit.go.kr/viewer/skin/doc.html?fn=67aa27dbd8a6d8391595431bc39b1ad9&rs=/viewer/result/20161230

 

문서뷰어

 

m.molit.go.kr

 

6) AIC : 노탐이나 AIP에 실릴정도로 중요하진 않은 쩌리 내용

 

필요할 때 가끔 올리는 듯

 

리얼 개쩌리 내용

 

 

-끝-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그리고 ABAS, GBAS, SBAS  (4) 2021.05.20
TCAS 혹은 ACAS  (0) 2021.05.19
GPS RAIM OUTAGE NOTAM 해설  (0) 2021.04.20
ILS CAT3 등급 통합  (2) 2021.02.25
PBN, RNAV, RNP, GPS 정리  (3) 2020.1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