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nal app segment는 straight이다.

 

 

- initial app segment, intermediate segment, MAP 구간은 RNP1, final app segment는 RNP 0.3을 충족해야 함.

 

 

- 이 말은 IAF부터 MAP까지 모두 PBN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각 구간마다 요구되는 RNP 수치를 충족해야한다는 뜻.

 

- 전자가 어긋나면 RNP APP라고 명명할 수 없으며, 항공기 시스템등의 문제로 후자가 어긋나면 RNP APP 스펙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

 

- 만약 IAF~IF는 RNP1을 요구하는 PBN인데 FAF부터 컨벤셔널 장비로 접근을 한다면(ex ZYYJ RNP ILS), 이를 RNP APP로 볼 것인가에 대한 내 생각은 RNP APP가 아니다이다.

 

- 절차의 이름이 중국이 만든 이상한 워딩이지만 본질적으로 RNP APP 구성을 따르지 않기 때문.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MEL interval extension  (0) 2024.08.13
RNP/RNAV 'X'  (1) 2024.08.12
RNAV transition RTE  (1) 2024.07.02
항공기 소방등급  (0) 2024.06.18
항공사 EDTO 인증 과정  (6) 2024.05.30

- 항공 전반에 관한 미국 규정인 14 CFR의 part 25.109(accelerate-stop distance)에 답이 있다.

14 CFR Part 25.109

 

- dry RWY에서의 accelerate-stop distance 산정 시 감속의 수단으로 reverser thrust를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한다고 적혀있다.

 

- 반면 wet RWY에서는 reverser thrust의 사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 보잉은 당연히 자국의 규정을 따르고, 이를 따르지 않으면 미국 내 운항에 문제가 생길 것이니 에어버스를 비롯한 다른 제작사도 따랐을 것. 그래서 본 개념은 모든 여객기에 공통 적용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A330 FCOM

 

'B738, 737-8'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both fail  (0) 2024.12.20
180° turning radius  (0) 2024.07.14
landing gear를 안 접어요  (0) 2024.06.07
RTL 다시 보기  (0) 2024.01.27
1 PACK INOP 고도 제한 이유  (0) 2024.01.18

- RWY VACATE를 할만한 TWY가 폐쇄됐다면, 180도 회전 후 다른 TWY로 빠져나갈 수도 있다.

 

- FCOM에 73H 180도 회전을 위한 최소 폭이 나온다. RWY 폭과 비교해서 회전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turnpad가 없다고 가정한다.

 

좌측 하단 min width of pavement for 180 turn : 79.7ft

 

- 노즈, 테일, 윙렛 별로 회전 반경이 다 다른데, 날개 끝에 있는 윙렛이 가장 반경이 크니 이 부분을 기준으로 min 수치를 79.7ft를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윙렛 없는 737이라면 약간 줄어들 듯.

 

- 국내 항공사가 요구하는 최소 활주로 폭은 148ft 이상일텐데, 그렇다면 737 기준 180도 회전은 아래처럼 turnpad 없어도 어디서든 가능하다는 뜻.

 

- 참고로 330은 사이즈가 커지니 최소 폭도 커진다.

 

'B738, 737-8' 카테고리의 다른 글

GPS both fail  (0) 2024.12.20
dry RWY 이륙 시 no REV 적용 이유  (0) 2024.08.04
landing gear를 안 접어요  (0) 2024.06.07
RTL 다시 보기  (0) 2024.01.27
1 PACK INOP 고도 제한 이유  (0) 2024.01.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