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330 Mmo는 M.86. A350/B777이 M.89인데 조금 느린 편.

 

- Mmo 차이때문인지 A330 실제 순항 속도도 동사이즈 항공기에 비해 느리다. 보통 M.8 전후인 듯.

A332

 

-  A350/B777은 확실히 빠르다. M.8 초중반까지 올라간다.

좌777 우350

 

- 이 차이가 장거리 운항편의 트립 타임을 가른다. ICN/SYD 구간에서 적게는 20분, 많으면 30분까지 차이가 있다. 남북 노선이 이정도인데 동서 노선은 더 심할듯. 

 

- A330이 94년에 처음 나온 비교적 오래된 항공기라 그런지, 원래 설계가 그렇게 된건지는 모르겠다. 같은 노선 타 항공사의 트립 타임을 보면 아쉬운 건 어쩔수가 없다.

 

- 보면 볼수록 A330 시리즈는 장거리보다는 수요가 많은 중장거리 몰빵용이다. 애초에 컨셉 자체가 그런 것 같다. 장거리를 다니는 LCC를 보면 대부분 B787을 운용한다. A330을 보유했다면 정말 수요가 확실한 중장거리 노선이 많다. 에어아시아나 세부퍼시픽의 동아시아/호주 노선이 그렇다.

 

- 20대 초반 항덕 입문을 기종 구별로 시작해서 그런지 지금도 기종에 관심이 많다. 그랬던 내가 항공기 소개를 하는 교육을 하게 될 지 누가 알았나? 인생 모를 일이다.

'A333'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ight variant  (0) 2024.04.09
대구에 330이 내릴 수 없는 이유  (1) 2023.12.19
cold soak apu start  (5) 2023.04.10
A330-3XX  (0) 2022.05.18
factored landing distance  (0) 2022.04.09

- A330 역시 multi MTOW 운영이 가능하다. 제작사가 여러 버전으로 만들어놨고 AFM에서 확인할 수 있다.

A330-200 기준

 

- 이러한 여러 버전의 무게를 에어버스 공식 용어로 weight variant라고 부른다. 제작사가 제시한 여러 옵션을 항공사가 선택하여 운영하는 방식. 

 

- MTOW와 함께 MLW, MZFW도 변한다. 항공기 구조에 영향을 끼치는 항목들이니 하나에 변화가 생기면 나머지도 같이 변하는 것으로 추정.

 

https://aviation.stackexchange.com/questions/49088/where-do-i-find-the-weight-variants-of-an-airbus-aircraft

 

Where do I find the Weight Variants of an Airbus aircraft?

Where do I find the Weight Variants (WV) of an Airbus aircraft?

aviation.stackexchange.com

 

'A333' 카테고리의 다른 글

A330 Mmo  (5) 2024.04.21
대구에 330이 내릴 수 없는 이유  (1) 2023.12.19
cold soak apu start  (5) 2023.04.10
A330-3XX  (0) 2022.05.18
factored landing distance  (0) 2022.04.09

- 120분 EDTO OFP에 기재된 회항 시나리오 소요 시간이 2시간을 넘는데 문제 있는게 아니냐는 말이 있었다.

 

- 항공사는 120분동안 무풍 ISA 온도에서 OEI로 운항할 수 있는 최대 운항 거리를 인가 받고, 그 거리 안에 EDTO ALTN 공항이 존재하도록 항로를 구성한다. 하지만 플랜에 적힌 회항 소요 시간은 실제 운항 환경을 반영했으니 2시간 초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

 

- 처음엔 이상한 질문이라고만 생각했고, 위 내용처럼 나 스스로도 이해했지만 2시간 초과로 볼 수 있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남아있었음.

 

- 하지만 실제로 3가지 시나리오가 발생하여 회항하는 것은 EDTO가 아니다!라고 생각하니 명확해졌다. (사실 당연한 말인데..)

 

- 출발 전 당연히 규정에 따라 EDTO를 계획하고 운항하겠지만 유사 시 회항하는 것은 다른 문제이다. EDTO가 아니니깐 인가 받은 시간을 지킬 필요가 없다는 뜻. 또한 2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작동하던 엔진이 갑자기 꺼지진 않는다. 그 이상 오랜 시간 작동할 수 있음. 그러니 회항에 120분 이상 소요된다고 기재되는게 가능.

 

- 정리하자면 인가 받은 시간에 준하여 EDTO 비행을 계획하되, 문제가 생기면 비행을 지속할 수 없으니 미리 계획한 시나리오에 따라 EDTO ALTN 공항으로 회항한다. 다만 실제 DVT 소요 시간은 인가 받은 시간과 당연히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

 

'항공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ideslope vs glidepath  (3) 2024.05.20
MACG  (0) 2024.04.28
improved climb  (2) 2024.03.12
adequate airport와 suitable airport 다시보기  (0) 2024.03.02
운항기술기준 속 이륙교체비행장  (2) 2024.02.25

+ Recent posts